무기력을 느낄 때, 변화가 시작됩니다.
창세기 32장 20-32절
사랑하는 여러분,
우리 인생에는 피할 수 없는 두려움의 순간이 있습니다.
아무리 지혜롭고 준비된 사람이라도 예상치 못한 위기가 닥치면 마음이 흔들리기 마련입니다.
하지만 성경을 보면, 하나님은 이런 순간을 통해 우리를 새롭게 빚으시고 변화시키십니다.
야곱의 이야기가 그 대표적인 예입니다.
야곱은 형 에서의 분노를 피해 20년 동안 하란에서 살아왔습니다.
이제 고향으로 돌아가려 하는데, 충격적인 소식을 듣게 됩니다.
형 에서가 400명의 장정을 거느리고 자신을 맞이하러 온다는 것입니다.
야곱의 심정이 어땠을까요?
성경은 이렇게 표현합니다.
"심히 두렵고 답답하였다"(창세기 32:7)
그 두려움이 얼마나 컸을지 우리는 충분히 짐작할 수 있습니다.
그의 앞에는 형의 분노가 기다리고 있고, 그의 뒤에는 지난 20년의 삶이 있습니다.
그는 지금 선택의 기로에 서 있습니다.
그 순간, 야곱은 본능적으로 자신이 늘 하던 방식대로 문제를 해결하려 합니다.
그는 먼저 전략을 세웁니다.
가족과 재산을 두 개의 진영으로 나누어 한 진영이 공격당하면 나머지 진영이라도 살아남게 하려 합니다.
또한 형의 마음을 풀기 위해 값비싼 선물을 준비합니다.
수백 마리의 가축을 여러 그룹으로 나누어 보내며, 형의 분노를 누그러뜨리려 합니다.
야곱다운 방법입니다.
그는 늘 이렇게 문제를 해결해 왔습니다.
하지만 이번에는 달라진 모습도 있습니다.
그는 기도합니다.
평생 자신의 지혜와 힘으로 살아왔던 그가 이제 하나님 앞에 간절히 매달립니다.
창세기 32장 9-12절의 기도는 그의 절박한 심정을 보여줍니다.
"주께서 내게 말씀하시기를... 나는 주께서 베푸신 모든 은총과 모든 진실하심을 조금도 감당할 수 없습니다."
그는 하나님께서 주신 은혜를 인정하며, 철저히 낮아진 모습으로 하나님을 붙잡습니다.
그리고 바로 그날 밤, 야곱은 인생에서 가장 중요한 순간을 맞이합니다.
얍복 강가에서 어떤 신비한 존재와 씨름하게 됩니다.
이것이 그의 운명을 바꾸는 밤이 됩니다.
이 씨름은 단순한 육체적 싸움이 아닙니다.
야곱이 하나님과 씨름하며 자신이 누구인지, 그리고 진정으로 의지해야 할 분이 누구인지 깨닫는 시간입니다.
결국 그는 하나님 앞에서 패배합니다.
그런데 놀라운 사실은 그 패배가 곧 승리였다는 것입니다.
그날 밤 이후로 그는 "이스라엘"이라는 새로운 이름을 받습니다.
그의 정체성이 바뀌는 순간입니다.
단순한 명목상의 신앙인이 아닌, 참된 믿음의 사람이 되는 순간입니다.
사랑하는 여러분,
우리도 야곱처럼 살아가고 있지는 않습니까?
우리는 위기가 오면 본능적으로 전략을 세우고,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애씁니다.
진정한 변화는 하나님과의 만남을 통해 이루어집니다.
철저한 무기력을 깨달아야 합니다.
야곱의 인생을 한마디로 정의하면, 자신의 힘과 자신의 지혜를 의지하는 삶입니다.
그는 늘 계산하고, 계획하고, 수를 써서 문제를 해결하려 합니다.
벧엘에서 하나님을 만났을 때에도 조건부 서원을 합니다.
늘 계산하고 계획하는 야곱다운 모습입니다.
"이곳이 하나님의 집이 될 것이요"라고 말합니다.
얼핏 보면, 믿음의 고백처럼 보이지만, 사실은 교만한 마음과 계산에서 나온 말입니다.
하나님께서 복을 주시면, 자신이 성전을 짓겠다는 말입니다.
그러나 성경을 보면, 성전은 인간이 짓는 것이 아닙니다.
하나님께서 계획하시고, 하나님께서 세우시는 것입니다.
구약에서 하나님은 모세에게 성막을 지으라고 명령하셨지, 모세가 자신의 생각으로 성막을 지은 것이 아닙니다.
다윗이 성전을 짓겠다고 했을 때, 하나님께서 허락하지 않으십니다.
그런데 야곱은 자신이 성전을 짓겠다고 합니다.
이것은 마치 바벨탑과 같은 태도입니다.
바벨탑은 무엇입니까?
인간이 스스로 하늘에 올라가려는 시도입니다.
인간의 노력으로 하나님의 자리에 도달하려는 것입니다.
하지만 하나님은 바벨탑을 흩으셨습니다.
인간의 힘으로는 결코 하나님께 이를 수 없기 때문입니다.
여로보암 왕 때, 왕은 벧엘에 정말 성전을 짓습니다.
그러나 그 성전은 명목상 하나님을 섬기는 곳이지, 실상은 금송아지를 놓고 섬기는 곳입니다.
결국 인간의 의와 노력으로 세운 성전은 하나님을 온전히 예배하는 곳이 될 수 없습니다.
사랑하는 여러분,
우리의 신앙이 야곱의 신앙처럼 자기 의와 노력에 기반을 두고 있지는 않습니까?
내 힘으로, 내 지혜로 하나님 앞에 나아가려 하지는 않습니까?
오늘 우리는 하나님 앞에서 철저히 무너져야 합니다.
우리의 방법과 우리의 힘이 아니라, 오직 하나님의 은혜와 믿음으로 나아가야 합니다.
얍복 강가에서 야곱은 여전히 자신의 힘으로 상대방을 이기려고 안간힘을 쓰고 있습니다.
바로 그때 하나님께서 야곱의 환도뼈를 치십니다.
환도뼈를 쳤다는 것은 야곱이 더 이상 힘을 쓸 수 없는 상태가 되었다는 것입니다.
우리는 언제 겸손할까요?
철저하게 나 자신이 무기력할 때입니다.
하나님께서 때때로 우리를 치실 때가 있습니다.
이는 우리에게 겸손을 요구하시는 것입니다.
오늘 말씀을 통해, 우리의 신앙이 야곱의 모습에서 이스라엘의 모습으로 변화되기를 소망합니다.
하나님 앞에서 철저히 낮아지고, 하나님의 은혜를 붙잡는 참된 믿음의 사람이 되기를 주님의 이름으로 축복합니다
낮아질 때 하나님은 우리를 축복하십니다.
오늘 본문에서 이해하기 어려운 장면이 등장합니다.
전능하신 하나님께서 야곱과 씨름하시다가 패배하십니다.
전능하신 분께서 어찌 패배할 수 있습니까?
그것은 하나님께서 일부러 야곱에게 지신 것입니다.
왜 그렇게 하셨을까요?
출애굽기 34장 6절에서 하나님은 자신을 이렇게 말씀하십니다.
"자비롭고 은혜롭고 노하기를 더디하고 인자와 진실이 많은 하나님이라."
하나님은 은혜가 많으시며, 우리를 긍휼히 보시는 분이십니다.
태어날 때부터 형의 발꿈치를 잡고 싸우던 야곱, 라반에게 속고 또 속이면서도 어떻게든 복을 받으려 애쓰던 야곱을 미워하신 것이 아니라 오히려 사랑으로 바라보셨습니다.
그래서 하나님은 그에게 새로운 이름을 주십니다.
'이스라엘(יִשְׂרָה)'이라는 이름입니다.
‘하나님과 싸운다’는 의미입니다.
감히 하나님과 씨름하다니, 어찌 보면 망령된 이름처럼 보일 수도 있습니다.
그러나 하나님은 기꺼이 그 이름을 주십니다.
야곱에게 싸움에서 지는 것을 수치스럽게 여기지 않으십니다.
죄인 된 그를 끝까지 사랑하시기 때문입니다.
이사야 49장 15절은 이렇게 말합니다.
"여인이 어찌 그 접 먹는 자식을 잊겠으며 자기 태에서 난 아들을 긍휼히 여기지 않겠느냐 그들은 혹시 잊을지라도 나는 너를 잊지 아니할 것이라."
여기 '긍휼히 여기다(רָחַם, 라함)'라는 말은 어머니의 태를 의미하는 '레헴(רֶחֶם)'에서 비롯된 말입니다.
하나님은 이미 리브가의 태에서부터 야곱을 사랑하셨습니다.
야곱은 태어날 때부터 죄인이었지만, 하나님은 처음부터 그를 긍휼히 여기셨습니다.
하나님은 우리의 무기력을 보시고 긍휼히 여기십니다.
죄악 앞에서 무기력해서 죄의 종노릇 하는 우리를 불쌍히 여기시고 잊지 않으십니다.
하나님의 기억하심이 곧 구원의 시작입니다.
'이스라엘(יִשְׂרָה)'이라는 이름에는 ‘하나님과 싸운다’는 의미가 있지만, 동시에 ‘하나님께서 다스리신다’는 의미도 있습니다.
죄인인 우리는 하나님과 싸우지만, 하나님은 우리 속 야곱과 싸우십니다.
우리 옛 사람인 죄악과 싸우십니다.
그 죄를 이기고, 우리 죄를 다스리십니다.
또한 우리를 하나님 백성 삼아 우리를 다스리십니다.
결론: 하나님은 우리가 낮아질 때 새롭게 하십니다.
사랑하는 여러분,
우리는 야곱처럼 살아갈 때가 많습니다.
하지만 하나님은 우리가 낮아질 때 은혜를 베푸십니다.
하나님 앞에서 무릎 꿇고 철저히 낮아질 때, 그분은 우리를 새롭게 하시고 축복하십니다.
우리 인생의 씨름은 끝난 것이 아닙니다.
그러나 중요한 것은, 우리의 힘이 아니라 하나님의 은혜로 살아가는 것입니다.
하나님 앞에서 철저히 낮아지고, 그분의 은혜를 붙잡으며 살아가는 우리가 되기를 주님의 이름으로 축복합니다.

'새벽 설교' 카테고리의 다른 글
말씀과 기도로 무장해야 합니다. (창세기 34:1-31) (0) | 2025.02.03 |
---|---|
하나님께서 인간에게 패배하실 수 있습니까? (창세기 32:24-32) (0) | 2025.01.31 |
하나님의 집, 성전 (창세기 28:10-22) (0) | 2025.01.29 |
간사함이 없는 사람 (창세기 28:10-22) (0) | 2025.01.28 |
하늘과 땅이 만나는 자리 (창세기 28:10-22) (0) | 2025.01.27 |